분류 전체보기 (39) 썸네일형 리스트형 Android layout ) resource활용해서 글씨 써주기 외 resource 활용해서 글씨써주기 안드로이드에서는 xml을 resource 라는 root파일에 보관하는데 모두 안드로이드에서 R클래스로 관리되어 변수처럼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 이 중 values폴더에는 우리가 레이아웃을 만들거나 소스파일을 수정할때 color나 string을 특정값을 지정해두고 편하게 name값으로 호출해 쓸 수 있다. 같은 xml파일에서 사용할 때는 "@폴더이름/name값" 으로 불러오고 소스코드에서 사용할 때는 레이아웃요소들이 관리되는 클래스명과 변수명으로 참조한다.(name이 변수명으로 활용된다.) 이런 패턴으로 코딩을 해줘야 동일된 값은 values파일에서 값을 수정해줌으로서 유지보수를 편하게 할 수 있다. Log.~ 이 의미하는것 d 는 debug , e 는 에러 등.. 로.. Scope Function Scope Function 스코프 함수는 코틀린에서 기본으로 지원해주는 함수다. 일반적인 함수가 ()로 호출을 한다면 스코프 함수는 {}로 호출하여 {}안에서 람다식으로 쓸 수 있는 코틀린에서 제공하는 기본 함수다. Apply 함수 Also 함수 Let 함수 With 함수 Run 함수 참조 : https://kotlinlang.org/docs/home.html Kotlin vs Java Null Safe Data Class Lambda expression lateinit lazyinit 데이터 타입 자바와 호환이 가능해야 하므로 자바의 타입들과 일대일 호환이 가능해야한다. 클래스의 동반자 companion object Companion Object 란?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도 클래스 내부에 접근할 수 있는 객체, 클래스 내부에 선언하면 클래스 이름만으로 companion object 내부에 선언된 맴버에 접근할 수 있다. class MyClass { companion object Factory { fun create(): MyClass = MyClass() } } companion 키워드로 클래스 내부에 선언할 수 있다. companion객체의 이름은 명시해도 되고 명시하지 않아도 된다. val instance = MyClass.create() 클래스이름으로만 companion 내부에 선언된 맴버에 참조할 수 있다. JAVA static 맴버와의 차이 자바의 static은 클래스의 맴버로서 선언되어 독립적인 객체로 사.. 클래스 계층 구조란 무엇인가 클래스 계층 구조 채소와 같이 광범위한 카테고리가 있고 그 안에서 콩류 라는 더 구체적인 유형의 카테고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처럼 사람들은 자연스레 속성과 동작이 비슷한 항목을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룹 내에서도 일정 유형의 계층 구조를 만든다. 프로그래밍 에서도 계층구조로 클래스를 설계하는데 이때 유용하게 사용되는것이 "상속" 이다. 클래스 계층 구조 : 클래스가 상위 요소와 하위 요소의 계층 구조로 구성된 배열이다. 하위클래스 또는 서브클래스 : 계층 구조에서 다른 클래스 아래에 있는 모든 클래스 상위 클래스 또는 슈퍼 클래스 : 하위 클래스가 하나 이상 있는 모든 클래스 루트 또는 최상위 클래스 : 클래스 계층 구조의 최상위(or root 루트) 에 있는 클래스 상속 : 하위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의 모.. Activity 소개와 레이아웃 인플레이션 Activity는 레이아웃 인플레이션을 통해 앱의 UI에 의미(기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Activity는 실행되는 앱의 전체 화면을 차지한다. 모든 앱에는 활동(Acitivity)이 하나 이상 있다. 프로젝트를 처음 생성하면 생기는 MainActivity는 최상위 수준 또는 앱을 실행하면 보게되는 첫번째 활동을 정의한다. (첫번째로 보이는 UI가 동작하도록 정의한다.) Activity에는 특정 목적이 있다. 예를 들어 사진 갤러리는 사진그리드를 표시하는 Activity, 개별 사진을 보는 Activity, 개별 사진을 편집하는 Activity가 있을 수 있다. MainActivity.kt 분석 레이아웃 인플레이션 뷰의 배치와 속성을 xml 파일에 뷰의 기능을 소스코드에 정의해 두었다고 .. ModelMap 객체 상속관계 및 구현 인터페이스 HashMap을 상속받은 자바 컬렉션 Serializable : (직렬화) 자바시스템 내부에서 사용되는 Object또는 Data를 외부의 자바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byte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술 Cloneable : 객체 clone()시에 (다른 변수 대입 등) 원본 객체에 피해를 주면 안되고, 복제본 가 클래스의 불변규칙을 지켜야 할때 사용됨 설명 Implementation of Map for use when building model data for use with UI tools. Supports chained calls and generation of model attribute names. This class serves as generic model .. NVL 함수 NVL(칼럼명, 값1) 해당 칼럼이 null 이면 값1을 반환 NVL2(칼럼명, 값1, 값2) 해당 칼럼이 null이 아닐경우 값1을 반환, null일 경우 값2를 반환 -- 보통 SQL문을 실행 했을 경우 SQL> SELECT ename, comm FROM emp; ENAME COMM ---------------- ---------- SMITH ALLEN 300 WARD 500 JONES MARTIN 1400 BLAKE CLARK SCOTT KING TURNER 0 ADAMS -- NVL함수를 사용 했을 경우 SQL> SELECT ename, NVL(comm, 0) comm FROM emp; ENAME COMM ---------------- ---------- SMITH 0 ALLEN 300 WARD .. CASE WHEN THEN ELSE END 문 case 문의 형식 CASE 칼럼 WHEN 조건1 THEN 값1 WHEN 조건2 THEN 값2 ELSE 값3 END 칼럼이 조건1일 때는 값이1이고 조건2일 때는 값2이고 나머지 경우에는 값3을 반환하는것입니다. 여기서 WHEN에 AND나 OR문을 넣어서 조건을 더하여 줄 수 있습니다. 예시 CASE WHEN CONFIRM_YN = '1' AND CUSTOMER_YN = '0' THEN '1' ELSE '0' END AS CUSTOMER_COLLECT_YN CONFIRM_YN이라는 칼럼의 값이 1이고 CUSTOMER_YN의 값이 0일때는 CUSTOMER_COLLECT_YN이 1을 값으로 갖고 그 외에는 0을 값으로 갖는다는 쿼리문입니다. 조건문에 서 쓸 칼럼을 case 바로 앞에 두어도 되고 해당 예시처.. 이전 1 2 3 4 다음